맨위로가기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는 1971년 5월 25일에 치러졌으며, 총 204석의 국회의원을 선출했다. 선거 결과, 민주공화당이 과반 의석을 확보했지만, 신민당이 약진하며 양당 체제가 강화되었다. 선거는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로 진행되었으며, 유권자는 지역구 후보에게 투표하고, 전국구 의석은 정당별 득표율에 따라 배분되었다. 이번 선거는 박정희 대통령과 민주공화당에 대한 비판 여론이 반영되어, 신민당의 약진과 '여촌야도' 현상을 보여주며, 정권 교체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2. 선거 정보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는 1971년 5월 25일에 실시되었다.[4] 총 유권자 수는 15,610,258명이었다.[4][2] 당시 대통령은 민주공화당 소속의 박정희였다. 박정희는 전월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신민당김대중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의석 정수는 204석으로, 지역구 153석과 전국구 51석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제7대 총선보다 29석 증가한 수치이다. 의원 임기는 4년이었다.

선거 제도는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였다. 유권자는 지역구 후보자에게만 투표하고, 전국구는 지역구 득표율에 따라 각 당에 배분되었다. 무소속 출마는 금지되었다. 후보자 수는 576명이었다.[2]

단원제 국회인 국민의회는 병립제에 의해 선출되었으며, 153명의 의원은 단일 선거구에서 선출되었고, 51명은 전국 차원에서 수정된 공식에 따라 배분되었다. 단, 3석 이상 또는 유효 투표의 5% 이상을 획득하지 못한 정당은 제외되었다. 1위 정당의 득표율이 50%를 넘으면, 전국 의석은 득표율에 비례하여 배분되되, 1위 정당은 전국 의석의 3분의 2까지만 배분받았다(그 후 1위 정당은 전국 의석 배분에서 제외됨). 1위 정당의 득표율이 50% 미만이면, 전국 선거구 의석의 절반이 자동적으로 1위 정당에 배분되었고(그 후 1위 정당은 전국 의석 배분에서 제외됨), 나머지 정당에 대해 이 과정이 반복되었다(즉, 2위 정당이 다음 배분을 위한 "1위 정당"으로 간주됨). 이 과정은 남은 모든 의석이 배분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3. 선거 배경

3. 1. 정치적 상황

1967년 신민당은 당수 유진산이 지역구를 포기하고 전국구 후보로 등록하자 당내에 혼란이 일어났다. 이른바 진산 파동으로 불리는 이 사건은 유진산 대표위원이 자신의 출신 지역구인 서울 영등포구 갑을 포기하고 전국구 1번으로 등록하자, 이에 불만을 품은 당내 소장층과 영등포 갑구 당원 등이 강력하게 반발하여 당수직 사퇴를 요구하는 사태로 벌어졌다. 이후 유진산은 당직을 사퇴하였다.

3. 2. 후보 등록

제8대 총선에서는 제7대 총선보다 지역구 의원 정수가 22명, 전국구 의원 정수가 7명 증가하여 지역구 153명, 전국구 51명 등 총 204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에는 총 577명의 후보자가 등록하여 평균 3.8:1의 경쟁률을 보였다.

4. 선거 제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는 소선거구제와 비례대표제를 병립하는 방식으로 치러졌다. 유권자는 지역구 후보에게만 투표하고, 전국구 의석은 각 정당의 지역구 득표율에 따라 배분되었다. 단, 3석 이상 또는 유효 투표의 5% 이상을 획득하지 못한 정당은 전국구 의석 배분에서 제외되었다.

국회의원 선거법에 따라, 지역구 의석이 5석, 득표율이 5% 이상인 민주공화당신민당에만 득표율에 따라 각각 27석과 24석이 배분되었다. 1위 정당의 득표율이 50%를 넘으면, 전국 의석은 득표율에 비례하여 배분하되, 1위 정당은 전국 의석의 3분의 2까지만 배분받았다. 1위 정당의 득표율이 50% 미만이면, 전국 선거구 의석의 절반이 자동적으로 1위 정당에 배분되었고, 나머지 정당에 대해 이 과정이 반복되었다.

5. 선거 결과

wikitext

민주공화당은 의원 정수의 55.4%에 해당하는 113명(지역구 86명, 전국구 27명)으로 과반수를 넘는 의석을 차지하였다. 신민당은 89명(지역구 65명, 전국구 24명)을 당선시켰고, 국민당과 민중당이 지역구에 각각 1명씩 당선되었고, 나머지 2개 정당은 단 1명의 당선자도 내지 못하였다.

정당득표의석
득표수%±지역구±전국구±합계±
bgcolor=|민주공화당5,460,58148.778627±0113
bgcolor=|신민당4,969,05044.38652489
bgcolor=|국민당454,2574.0610±01
bgcolor=|민중당155,2771.3910±01
bgcolor=|통일사회당97,3980.870±00±00±0
bgcolor=|대중당59,3590.5300±00
기권/무효234,280colspan=8 bgcolor=#F4F4F4|
합계11,430,202100±015351204
등록유권자/투표율15,610,25873.22colspan=7 bgcolor=#F4F4F4|
출처: [https://m.terms.naver.com/entry.nhn?docId=1711512&cid=42146&categoryId=42146 중앙선거관리위원회]


5. 1. 정당별 득표 및 의석

민주공화당은 113석(지역구 86석, 전국구 27석)을 얻어 과반 의석을 확보했지만, 지난 총선보다 의석수가 16석 감소했다. 신민당은 89석(지역구 65석, 전국구 24석)을 얻어 약진하며, 지난 총선보다 의석수가 44석 증가했다. 국민당과 민중당은 각각 지역구에서 1석씩을 얻었다. 통일사회당대중당은 의석을 얻지 못했다.

정당득표의석
득표수%±지역구전국구합계±
bgcolor=|민주공화당5,460,58148.778627113
bgcolor=|신민당4,969,05044.38652489
bgcolor=|국민당454,2574.06101
bgcolor=|민중당155,2771.39101
bgcolor=|통일사회당97,3980.87000±0
bgcolor=|대중당59,3590.53000
기권/무효234,280colspan=7 bgcolor=#F4F4F4|
합계11,430,202100±015351204
등록유권자/투표율15,610,25873.22colspan=6 bgcolor=#F4F4F4|
출처: [https://m.terms.naver.com/entry.nhn?docId=1711512&cid=42146&categoryId=42146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국회의원 선거법에 따라, 지역구 의석이 5석, 득표율이 5% 이상인 민주공화당신민당에만 득표율에 따라 각각 27석과 24석이 배분되었다.

정당별 의석수와 지역구 득표
정당명득표수%지역구비례대표합계%
민주공화당5,460,58148.8862711355.4
신민당4,969,05044.465248943.6
국민당454,2574.01010.5
민중당155,2771.41010.5
기타 정당156,7571.40000.0
합계11,195,92215351204100.0


5. 2. 지역별 결과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은 113석(지역구 86석, 전국구 27석)으로 과반수 의석을 차지했고, 신민당은 89석(지역구 65석, 전국구 24석)을 얻었다. 국민당과 민중당은 각각 지역구에서 1석씩을 얻었다.

지역별로는 서울특별시부산직할시에서 신민당이 각각 18석과 6석을 차지하여 압승하였다. 경기도에서는 민주공화당이 11석으로 우세했으나, 신민당도 4석을 확보하며 선전했다.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남도, 경상북도에서는 민주공화당이 다수 의석을 차지했다. 전라북도에서는 민주공화당과 신민당이 각각 6석으로 동률을 이루었다. 경상남도에서는 민주공화당과 신민당이 각각 9석으로 동률을 이루었고,제주도에서는 민주공화당이 2석을 모두 차지했다.

지역민주공화당신민당국민당민중당합계
서울특별시118--19
부산시26--8
경기도114-116
강원도81--9
충청북도62--8
충청남도114--15
전라북도66--12
전라남도157--22
경상북도1581-24
경상남도99--18
제주도2---2
합계866511153



전반적으로 도시 지역에서는 신민당이 우세하고, 농촌 지역에서는 민주공화당이 우세한 ‘여촌야도(與村野都)’ 현상이 나타났다.[3]

5. 3. 투표율

전국 선거인수 15,610,258명 중 11,430,202명이 투표하여, 투표율은 73.2%를 기록하였다.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지역별 투표율
서울부산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
투표율59.2%72.1%72.4%78.6%80.2%74.9%76.8%76.7%78.7%79.3%78.4%



서울의 투표율은 59.2%로 가장 낮았고, 충청북도의 투표율은 80.2%로 가장 높았다.

5. 4. 여성 의원

6. 선거의 의미와 영향

제8대 총선은 국회를 통해 집권 세력을 견제하려는 유권자들의 의지가 반영된 선거였다.[3] 대도시를 중심으로 야당에 대한 지지가 확산되면서 양당 체제가 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3]

박정희 대통령과 민주공화당에 대한 국민들의 비판 여론이 높아지면서, 신민당의 약진으로 이어졌다.[3] 특히, '여촌야도'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면서 도시와 농촌 간의 정치적 성향 차이가 명확해졌다.[3] 김대중을 필두로 한 신민당은 이번 총선에서의 약진을 바탕으로 정권 교체의 가능성을 보여주며, 민주화 운동의 새로운 동력을 얻게 되었다.

7. 당선자

7. 1. 지역구 당선자

시·도선거구 / 당선자
서울특별시종로구중구동대문구 갑동대문구 을
권중돈정일형宋元英/송원영한국어유옥우
height="6" colspan="4" |
성동구 갑성동구 을성동구 병성북구 갑
양일동洪永基/홍영기한국어정운갑조윤형
height="6" colspan="4" |
성북구 을성북구 병서대문구 갑서대문구 을
서범석고흥문김재광金相賢/김상현한국어
height="6" colspan="4" |
서대문구 병마포구용산구영등포구 갑
윤제술노승환김원만張德鎭/장덕진한국어
height="6" colspan="4" |
영등포구 을영등포구 병영등포구 정rowspan="2" colspan="1" |
김수한朴漢相/박한상한국어윤길중
height="6" colspan="4" |
부산시중구영도구서구동구
김응주김상진김영삼김승목
height="6" colspan="4" |
부산진구 갑부산진구 을동래구 갑동래구 을
김임식정해영양찬우이기택
height="6" colspan="4" |
경기도인천시 동구·중구인천시 남구인천시 북구수원시
柳承源/유승원한국어김은하김숙현李秉禧/이병희한국어
height="6" colspan="4" |
의정부시·양주군광주군·이천군포천군·가평군·연천군여주군·양평군
이윤학차지철오치성천명기
height="6" colspan="4" |
용인군·안성군평택군화성군파주군
서상린崔永禧/최영희한국어金炯一/김형일한국어박명근
height="6" colspan="4" |
고양군김포군·강화군시흥군부천군·옹진군
김유탁金在春/김재춘한국어이택돈오학진
height="6" colspan="4" |
강원도춘천시·춘성군원주시·원성군강릉시·명주군홍천군·인제군
홍창섭金龍鎬/김용호한국어최돈웅이교선
height="6" colspan="4" |
영월군·정선군철원군·화천군·양구군속초시·양양군·고성군횡성군·평창군
장승태金在淳/김재순한국어한병기이우현
height="6" colspan="4" |
삼척군rowspan="2" colspan="3" |
金振晩/김진만한국어
height="6" colspan="4" |
충청북도청주시청원군충주시·중원군옥천군·보은군
최병길민기식이택희육인수
height="6" colspan="4" |
괴산군영동군진천군·음성군제천군·단양군
金元泰/김원태한국어정구중李貞錫/이정석한국어李海元/이해원한국어
height="6" colspan="4" |
충청남도대전시 갑대전시 을대덕군·연기군공주군
박병배金龍泰/김용태한국어김제원李丙周/이병주한국어
height="6" colspan="4" |
논산군부여군서천군보령군
김한수金鍾翊/김종익한국어이상익崔宗聖/최종성한국어
height="6" colspan="4" |
청양군·홍성군예산군서산군당진군
장영순한건수박승규유제연
height="6" colspan="4" |
아산군천안시·천원군금산군rowspan="2" colspan="1" |
김세배金鍾哲/김종철한국어박성호
height="6" colspan="4" |
전라북도전주시군산시·옥구군이리시·익산군완주군
이철승姜根鎬/강근호한국어金鉉基/김현기한국어유기정
height="6" colspan="4" |
진안군장수군·무주군임실군·순창군남원군
전휴상길병전이정우양해준
height="6" colspan="4" |
정읍군고창군부안군김제군
유갑종진의종이병옥張坰淳/장경순한국어
height="6" colspan="4" |
전라남도광주시 갑광주시 을목포시여수시
정성태김녹영김경인김상영
height="6" colspan="4" |
여천군순천시·승주군담양군·장성군화순군·곡성군
김중태조연하고재필문형태
height="6" colspan="4" |
구례군·광양군고흥군보성군장흥군
박준호申泂植/신형식한국어이중재길전식
height="6" colspan="4" |
영암군·강진군완도군해남군무안군
윤재명정간용林忠植/임충식한국어임종기
height="6" colspan="4" |
신안군나주군광산군영광군
정판국나석호오중열박종진
height="6" colspan="4" |
함평군진도군rowspan="2" colspan="2" |
윤인식손재형
height="6" colspan="4" |
경상북도대구시 중구대구시 동구대구시 남구대구시 서구
한병채김정두신진욱趙一煥/조일환한국어
height="6" colspan="4" |
대구시 북구포항시·울릉군영일군김천시·금릉군
강재구김병윤정무식백남억
height="6" colspan="4" |
경주시·월성군달성군·고령군군위군·선산군의성군
심봉섭金成坤/김성곤한국어金鳳煥/김봉환한국어김상년
height="6" colspan="4" |
안동시·안동군청송군·영덕군영양군·울진군영천군
박해충文泰俊/문태준한국어오준석鄭鎭和/정진화한국어
height="6" colspan="4" |
경산군청도군성주군·칠곡군상주군
李炯雨/이형우한국어박숙현김창환김인
height="6" colspan="4" |
문경군예천군영주군봉화군
고우진조재봉김창근권성기
height="6" colspan="4" |
경상남도마산시진주시·진양군충무시·통영군고성군
황은환구태회김기섭崔在九/최재구한국어
height="6" colspan="4" |
거제군진해시·창원군삼천포시·사천군하동군
이학만황낙주최세경엄기표
height="6" colspan="4" |
함안군·의령군창녕군산청군합천군
조홍래김이권丁雨軾/정우식한국어이상신
height="6" colspan="4" |
밀양군양산군·동래군울산시·울주군김해군
朴一/박일한국어辛相佑/신상우한국어최형우김영병
height="6" colspan="4" |
남해군함양군·거창군rowspan="2" colspan="2" |
신동관민병권
height="6" colspan="4" |
제주도제주시·북제주군남제주군rowspan="2" colspan="2" |
홍병철현오봉




7. 2. 전국구 당선자

wikitable


참조

[1] 서적 Elections in Asia: A data handbook, Volume II (정보 없음) 2001
[2] 문서 歴代選挙情報システム 한국중앙선거관리위원회
[3] 서적 朝鮮韓国近現代史 일본평론사 (정보 없음)
[4] 웹사이트 중앙선관위 역대선거정보시스템 http://www.nec.go.kr[...] 2012-0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